전체 글 (97)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용자, 그룹 패스워드 정보 useradd :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 passwd :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을 위한 명령어 usermod : 사용자 계정 정보를 수정한다. -u(uid 값을 수정), -g(gid값을 수정) –s (기본 셸을 수정) –c(설명) userdel : 사용자 계정 삭제 (-r을 꼭 붙여줘야 깔끔하게 삭제가 된다.) groupadd : 새로운 그룹을 추가한다. groupdel : 그룹 삭제 cat /etc/passwd :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볼 수 있다. duck이라는 user을 추가하고 passwd설정하고 etc/passwd에서 보겠다. Duck(id):x(passwd) : 521(uid): 521(gid):(설명): /home/duck(홈디렉토리):/bin/bash(로그인쉘) cat /e.. 권한설정, ip설정 Chmod : 각 접근 주체들마다 기존파일이나 디렉토리 접근 시 거쳐야만 하는 권한으로서 해당파일이 가지고 있는 rw혹은 8진수를 사용자 임의대로 변경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접근권한은 숫자와 기호 두가지 방법으로 기술할 수 있다. 숫자로 표현하자면 8진수로서 줄 수 있고 기호로 표현하자면 주체와 연산자+-= rwx(접근권한)을 결합하여 나타낸다. 소유주-그룹-기타 순으로 정렬되는데 r(읽기) : 4, w(쓰기) : 2, x(실행) : 1이다. chown : 소유주를 바꾼다는 뜻으로 해당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소유주를 변경한다. Ex) chown aa a.txt(a.txt의 소유주를 aa로 바꾸겠다.) chown .bb a.txt(a.txt의 그룹을 bb로 바꾸겠다.) umask : 파일이나 디렉토.. 심볼릭링크, 하드링크 ln : 하드 링크 만들기 -s(심볼릭 링크 만들기) 하드링크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보이 사라져도 위치를 알기 떄문에 데이터 를 알아서 잘 찾아간다. 그에 비해 심볼릭링크는 위치정보가 없기 떄문에 원본이 삭제되 면 위치를 몰라 데이터가 없어진다. 확인해 보기 위해 a.txt를 만들고 b.txt는 하드링크로 c.txt는 심볼릭링크로 만들겠다. ls –ial inode값을 확인해보았다. a.txt와 b.txt가 같고 c.txt와는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데이터 확인하기 위해 a.txt를 지우겠다. ls –ial을 확인했다. 하드링크로서 위치정보를 가지고있는 b.txt는 무사히 존재하고 심볼릭링크인 c.txt는 데이터가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기본명령어) 리눅스는 리누스 토발즈가 대형 기종에서만 작동하던 운영 체계인 유닉스를 386 기종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만든 운영체계이다.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특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플랫폼에서도 포팅이 가능하며 가장 대표적인 오픈 소스 운영체제이다. 우리나라는 centOS(레드햇 계열)을 많이 이용한다. 무료이긴 하지만 대신 기술지원이 불가하다. 리눅스는 명령어, 편집기, 설정파일의 위치를 아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명령어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pwd : 현재 경로 보기 cd :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ls : 디렉토리의 목록보기 cp : 파일/디렉토리 복사 mv : 파일이동 mkdir : 디렉토리 생성 rmdir .. 로밍사용자프로필, 폴더 리디렉션 로밍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 프로필을 파일 공유로 리디렉션하여 사용자가 여러컴퓨터에서 동일한 운영체제 및 응용프로그램 설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자가 파일 공유를 통해 설정된 계정을 프로필 경로로 사용하여 컴퓨터에 로그인하면 이 사용자의 프로필이 로컬 컴퓨터에 다운로드되어 로컬프로필과 합쳐진다. 일단 mem2에 profile 폴더를 만들고 공유를 해주겠다. 보안의 권한에는 domain users를 추가해주었다. AD에서는 계정의 속성에 프로필을 만든 폴더의 경로를 설정해주었다. a사용자로 Test1, Test2에서 접속해보겠다. 로밍사용자임을 알 수 있다. Test1에서 duck이라는 새 폴더를 추가한 후 로그오프하고 test2번에서 로그인해보면 test2 pc에 만들지도 않은 duck이란 폴더.. 그룹정책 그룹정책이란 중앙의 정책서버에서 정책을 생성하여 도메인 내의 모든 host에 적용하는 일종의 규칙이다. 기능 및 보안등의 모든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하다. 2008의 경우 약 2400여개의 정책 설정이 가능해진다. 정책은 local, 사이트, 도메인, ou 순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관리도구 - 그룹정책관리 기능이 있다.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제어판기능 제한과 배경화면에 대한 정책을 만들어보겠다. 먼저 그룹정책을 위한 그룹을 만들어야 하기 떄문에 AD사용자에서 OU를통해 test라는 새 개체를 만들었다. Test에 도메인user a와 테스트할 pc1대를 넣어주었다. 그 후 그룹 정책 개체를 새로만들기로 추가했다. 이름은 제어판_제한으로 하였다. 생겨난 개체의 편집을 해줘야 한다. 편집에서 사용자.. freenas(서버 이중화) 서버이중화는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의미한다. 두가지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한가지는 failover cluster, LoadBalance로 이용된다. Failover는 하나의 서버가 죽었을 경우 다른 서버가 일을 대신 처리하여 무정지 시스템을 구축하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LoadBalances는 두개의 서버가 특정 조건에 의해 일을 분담처리하게 하여 부하 분산을 하게 해주는 것이다. Freenas를 통해서 구현해 보겠다. 기능은 dhcp기능을 쓰겠다. 먼저 freenas라는 가상머신을 만들어 주겠다. 메모리는 512mb로 크기는 2GB로 하겠다. Disk type은 ide로 하겠다. 만든 후 이미지파일을 설정해 주었고, 실행시켰다. 이미지파일을 추가하기 위해 9번(install/upgrad.. login창 관리 로컬사용자그룹을 통해 여러 사용자를 생성했을 떄 로그오프창에서 너무 지저분하게 된다. 그걸 정리하기 위해 사용자들을 지워 주는 설정을 하였다. a 부터 l까지 만들고, 로그인 창에 들어가보았다. 실행창에서 regedit을 검색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들어가서 HKEY_LOCAL_MACHINE에 SW의 MICROSOFT –WINDOW NT- CURRENT VERSION에 winlogon의 새로만들기(키)를 선택한다. 그리고 SpecialAccounts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준다. Winlogon에 UserList를 새로만들기(키)를 설정한다. Userlist에 새로만들기(dword(32bit)를 추가한다. 제외하고 싶은 사용자들의 id들을 입력한다. A와 administrator을 제외하고 모두 로그인창에서..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