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7)
IIS 가상호스트(CentOS 6, 7) 웹페이지 가상호스트를 만들기 위해 /blog /intra 디렉토리를 만들겠다. duck.html을 추가해주겠다. (기존의 웹페이지) Vi /blog/duck.html Vi intra/duck.html vi /etc/httpd/conf/httpd.conf 설정파일 들어간다. 990 주석 해체 1003,1009co1009을 통해 형식을 복사하여 추가한다.(가상호스트를 추가하기 위해) (제일 밑에 부분은 www. 설정해줘야지 겹치지 않는다.) 설정안해주면 www. 들어가도 blog가 들어가짐. Sever의 관리자와 html이 있는 경로 서버의 이름을 설정해준다. vi /var/named/duck.com.zone에서 도메인추가한다.(DNS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곳에서) Win7 확인! CentOS7에서는 특별한 ..
IIS 패키지 설치(CentOS 6, 7) 먼저 httpd 패키지를 설치한다. 설치 완료 후 vi /etc/httpd/conf/httpd.conf한다. 여러설정정보들이 들어있다. 번호로 보기 위해 :set nu 명령어를 실행했다. 228번 쨰 줄의 extendedstatus의 주석을 해체 한다.(상태메시지 확인) Server의 admins은 root@duck.com으로 해주겠다. (DNS가정) 웹 서버의 이름은 www.duck.com 하나로 고정하겠다. index에 duck.html 추가 Server-status와 server-info의 정보의 권한 설정 Welcome.conf의 것을 모두 주석처리 (이게 동작하면 오류페이지떄 오류페이지가 안나오고 웰컴페이지가 나온다.) 웹 페이지 문서 추가 코딩 추가(html) 방화벽 개방, Service ip..
MAIL Server(CentOS 6, 7) yum install -y dovecot sendmail sendmail-cf을 통해 설치한다. (dovecot은 받는 메일) 새로 생긴 /etc/mail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vi sendmail.mc에 들어간다. 52,53번 줄 주석 해체하고 116번 줄 설정 m4 sendmail.mc > sendmail.cf (mc파일 cf로 밀어넣기!) vi sendmail.cf에 들어간다. 39번쨰줄 삭제(의미 없는 공백) access 파일의 파일구조는 텍스트 파일이며, sendmail이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makemap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sendmail이 인식할 수 있는 DB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Sendmail 설정완료 dovecot(받는메일 설정해야한다. cd /etc/dovecot으로 이..
DNS 패키지 설치 (CentOS 6, 7) vi /etc/named.conf에서 DNS를 허락할 사람을 설정한다. 아무나 허락하기 위해 any로 설정했다. 도메인에 실제이름 지정을 위해 vi /etc/named.rfc1912.zones에서 설정해 주었다. 도메인은 duck.com으로 하겠다. 들어가서 19,23co23를 통해 복사하여서 도메인을 추가하겠다. Zone은 이름을 type은 master(주 영역을 뜻한다.slave는 보조영역) allow-update (영역 전송은 설정하지 않겠다.) cd /var/named/로 이동하고, cp named.localhost duck.com.zone를 통해 형식을 복사하겠다. 수정하겠다. Service named start(DNS를 시작하겠다.) 방화벽 53번 개방(방화벽 재시작!) **(DNS가 밖으로 ..
DHCP 패키지 설치 먼저 yum install –y dhcp(패키지 설치)한다. 그 후에 cat /etc/dhcp/dhcp.conf를 확인해보면 file이 없다. 대신 sample파일의 위치를 알려주게 되는데 sample값을 복사하여 /etc/dhcp/dhcpd.conf에 복사하여 주겠다. vi /etc/dhcp/dhcpd.conf로 copy한 sample을 보겠다.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설정했다, ip는 1.0.0.0/24대역 , 사용가능한 범위를 31 ~ 200으로 도메인 ip는 1.0.0.1, 168.126.63.1, 도메인 네임은 duck.com으로 router는 1.0.0.254로 했다. 실행! client에서 확인! 무사히 ip와 정보들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예약기능을 1.0.0.32의 ip에 예약기능을 써보겠..
quota(사용자 제한) quota의 기능을 실습해 보았다. 먼저 yum install –y를 통해 쿼터를 설치해 준다. 그 후 보안성이 강력한 selinux가 있는데 vi /etc/sysconfig/selinux에 들어가서 기능을 꺼줘야 한다. Enforcing을 disabled로 바꾼다. 또 vi /etc/fstab에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입력이 안되기 떄문에 setenforce 0라는 명령어도 수행해줘야 한다. a라는 계정을 만들어 주겠다. sdb라는 하드디스크 10GB를 추가하였고, fdisk를 통해 하나로 파티셔닝 하였다. 파일시스템은 mkfs.ext4 /dev/sdb1로 만들어 주었다. 디렉토리를 제한할 것이기 때문에 특정 /test이라는 특정 디렉토리를 만들었다.(mkdir /test) 그리고 그 쪽으로 moun..
LVM(Logical Volume Manager) LVM 은 Logical Volume Manager 의 약자로서, 저장장치들을 좀더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커널의 부분과 프로그램을 말한다. /home, /var, /tmp등 가변데이터가 많은 디렉토리는 LVM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용량이 full이 되면 대처할 방법이 없는데 LVM으로 구성할 경우 대처가 편리하기 떄문에 처음에 애초에 분리하는게 좋다. Centos linux 처음 만들 때 볼륨 그룹을 따로 만들어 줄 수 있다. 기존의 경우 명령으로 만들어 줘야 한다. 순서는 PV(physical volume) -> VG(volume group) -> lv(Logical volume)이다. 먼저 파티셔닝 한 disk들의 형태를 fdisk에서 t 에서 8e를 입력하여서 linux LVM으로 바꿔..
mount(기본 명령어) mount란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DVD, USB 메모리 등을 사용하려면 지정한 위치에 연결해야 함.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 위치에 연결시켜주는 과정을 마운트라고 한다. 쉽게 말해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디스크를 사용하려면 파티션, 파일시스템 생성, 마운트 과정을 거쳐서 디스 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lsblk : 디스크 파티션 관계 정보 확인 fdisk : 장치를 파티션 한다. m(도움말), 생성 : n -> p -> 1 ->첫 실린더값 -> 마지막 실린더 값 -> 생성 p(파티션된 장치 확인), w(저장), d(삭제) mkfs : 파일시스템 만들기 ex) mkfs –t ext4 장치명, mkfs.ext4 장치명(ex) /dev/s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