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DOWS/AD(Active Directory)

freenas(서버 이중화)

서버이중화는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의미한다. 두가지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한가지는 failover cluster, LoadBalance로 이용된다. Failover는 하나의 서버가 죽었을 경우 다른 서버가 일을 대신 처리하여 무정지 시스템을 구축하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LoadBalances는 두개의 서버가 특정 조건에 의해 일을 분담처리하게 하여 부하 분산을 하게 해주는 것이다. Freenas를 통해서 구현해 보겠다. 기능은 dhcp기능을 쓰겠다.

먼저 freenas라는 가상머신을 만들어 주겠다. 메모리는 512mb로 크기는 2GB로 하겠다.

Disk typeide로 하겠다.

만든 후 이미지파일을 설정해 주었고, 실행시켰다.

이미지파일을 추가하기 위해 9(install/upgrade to hard drive/flash device을 선택했다.

설정 창을 누르면 계속 반복되기 떄문에 8번을 통해 shutdown 했다

또 반복을 막기 위해 cd를 빼고 add를 통해 scsi 2기가 3개파일을 만들고 실행했다.

2(set LAN IP)을 선택하여서 ip(1.0.0.5), subnetmask(255.255.255.0), gateway(1.0.0.254), DNS(1.0.0.1)주소를 각각 그림에 맞는 ip를 대입하여 주었다. 그 후에 꺼주었다.

Explore로 설정하는 것이 편하게 때문에 mem1서버에서 freenas ip 1.0.0.5로 접속하였고 기본 설정은 아이디 admin, 비밀번호 freenas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disk - management에서 scsi방식이기떄문에 각각 da0, da1, da2로 설정하고 각각의 이름은 quorum, cluster1, cluster2로 해주고 파일시스템을 zfs로 바꾸어주었다.

Scsi 파일 3개를 만들어주었기 떄문에 3개를 만들었다.

disk – virtual device에서 device 추가를 해줘야 한다.

disk - zfs에서도 역시 생성하고 크기와 health가 무사히 생성되었음을 확인한다.

Services - setting에서 enable 체크를 한 후 base name iqn.dj로 하겠다.

Portal, initiators는 설정이 기본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냥 추가한 후 apply한다.

그 후 target에서 경로 설정을 해주고 size1900mb로 하겠다. 경로는 mnt/***/ 후에 하나 숫자의 경로를 하나 추가해줘야 한다.

Target도 각각 3개 추가해 주어야 한다.

Cluster 설정은 끝나고 disk 설정을 위해 diskmgmt.msc파일을 실행한다.

Disk가 존재하지 않음을 볼 수 있는데 시작 관리도구 – Iscsi 초기자에서 검색의 포털검색 한 후 대상 3개를 연결 하면 disk 3개가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생겨난 각각의 disk들을 온라인 시켜주고 초기화 시켜준다.

각각의 디스크의 단순볼륨 만들기 마법사를 실행했다. 별도로 특별한 설정은 하지 않고, 레이블만 quo, clu1, clu2 설정해주었다. (**서버 2대다 설정해주어야 한다.**)

Mem1mem2DHCP역할을 설치하고, 기능은 장애조치 클러스터리을 설치해주었다.

Failovercluster은 동기화가 되기 떄문에 mem1, mem2 둘 중에 한 서버에서 구성 유효성 검사를 실행 하여야 한다.

검사할 mem서버 2대를 선택한다. 그 후 모든 테스트를 선택한 후 검사한다.

테스트가 무사히 완료 되었다.

그 후에 클러스터를 만든다. 역시 mem 서버 pc 2대를 추가해주고 그림과 같이 ip1.0.0.10으로 설정해주고 설치한다.

클러스터를 무사히 만든 후 서비스 또는 응용프로그램 구성을 해야한다. DHCP로 구성하겠다. 그림의 DHCP cluster1.0.0.9이므로 ip1.0.0.9로 하겠다.

저장소는 디스크2번으로 설정해주겠다. 무사히 서버가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DHCP 관리에서 똑같이 새 범위로 만들겠다.

둘 중 한 서버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ient에서 무사히 ip를 받음을 알 수 있다.

Failover을 확인하기 위해 DHCP서비스 중인 mem2서버를 멈춰보겠다. Mem2가 다운되고 대신 mem1DHCP 역할을 수행하려고 새로 로드 중인 모습이다.

무사히 작동 됨을 보인다. FAILOVER을 수행하였다. CLIENT도 작동이 잘된다.

'WINDOWS > AD(Active Direc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밍사용자프로필, 폴더 리디렉션  (0) 2019.06.30
그룹정책  (0) 2019.06.30
부모, 자식 도메인  (0) 2019.06.29
AD(Active Directory)  (0) 20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