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라우터, 스위치

(12)
DYNAMIC ROUTING(OSPF, EIGRP) OSPF에 대해 알아보았다. OSPF는 규모가 크고 성장하는 NETWORK를 위해 고안 되었다. RI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OSPF는 최단거리 경로 설정을 하며 서로 정보를 계속 주고받으면서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고, 변화가 있을 때 마다 바로바로 업데이트를 한다. 그러므로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대규모 네트워크를 안정되게 운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area로 구역을 나눔으로써 이루어 진다. 여기서 area를 나누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 하는 AREA 0는 backbone area로써 다른 area들과 area 0는 꼭 물리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pc 3대와 스위치 3대와 라우터 3대로 망을 구성하였다. 각각의 pc에는 역시 ip, subnetmask, gat..
DYNAMIC ROUTING(정의, RIP) 일일이 경로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Static routing과 다르게 dynamic routing은 라우터가 알아서 스스로 자동으로 판단하고 알아서 가장 좋은 길을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일일이 수동으로 경로를 입력하는 static routing의 번거로움을 해결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단점은 사람이 할 일을 라우터에게 주기 떄문에 그만큼 라우터에 걸리는 부담감도 많아진다는 점이다. Dynamic routing에는 RIP, OSPF, EIGRP가 있다. AS는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프로토콜의 집단이다. AS를 쓰는 이유는 라우터들을 AS라는 그룹으로 묶어 줌으로써 라우터가 가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좀 더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때 Dyna..
MULTIUSER STATIC ROUTING(실습) Multiuser을 통한 Static Routing을 구현해 보았다. 4명이서 같은 망을 구성하여서 각각의 pc와 server로 ping이 가능하게 설계해보았다. 저희 조는 3조였가 때문에 X : 3이였고, Y는 1번,2번,3번,4번 각각 나누었다. 저는 4번을 담당하였기 떄문에 3.0.4.0/24의 네트워크 대역을 내부 망으로 설정하였다. 라우터끼리의 내부 망은 33.33.33.33/28대역에서 1번(팀장), 2번, 3번, 4번 순서대로 차례대로 2개씩 나눠 가졌다. Multiuser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ultiuser아이콘을 클릭한 후 내가 연결할 것이기 떄문에 outgoing 팀장의 ip, 기본 포트 넘버인 38000, 네트워크 이름, 기본 password인 cisco을 입력하면 팀장에게 요청이 ..
STATIC ROUTING(정의, 실습) Static Routing이란 간단하게 정적 경로 지정으로써 동적 경로지정과는 다르게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설정하고 지정된 경로는 관리자가 경로를 변경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로 지정 방법 Static Routing의 명령어는 ip route (자신이 모르는 네트워크 대역) (서브넷 마스크) (자신과 연결된 라우터의 ip)입니다. 실습)라우터 2개로 망을 구성한 후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pc들이 서로 ping 명령어를 통해 통신이 됨을 확인하세요. 망을 구성한 후 pc와 server에는 클릭을 통해서 ip값들을 대입하였고, 라우터에는 명령어를 통해 기본명령어와 ip 값들을 대입한 상태입니다. 그 상태에서 pc0에서 pc1에 ping을 보내게 되면 ping이 응답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