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 리눅스에서 metaspolitable2의 보안취약점을 이용하여서 root계정으로 원격접속을 하겠다. metaspolitable2(1.0.0.12)한대와 칼리 리눅스(1.0.0.1) 한대를 준비한다.
Nmap 명령어로 열려있는 포트를 본다. 거의 모든 포트가 open이다.
여기서 보안상 취약점이 드러나게 된다.
rlogin을 통해 접속한 결과 키가 맞지않아 deny된다.
Nfs, ssh포트가 열려있기 떄문에 nfs를 이용하여서 공격하겠다.
apt명령어를 통해nfs-common이라는 툴을 설치!
설치가 완료된 후 어떤 디렉토리가 공유되어있나 확인하기 위해 showmount 명령어를 사용하였다. Showmount로 확인해본 결과 / * 모든 디렉토리가 공유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안상 너무 취약한 부분이다.
Ssh의 key파일을 만들기 위해 ssh-keygen 명령어 실행!
위치는 /root/.ssh/id_rsa저장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준다.
cat명령어로 ssh의 키가 잘 생성 되어있나 확인!
nfs공유가 전체가 공유되있다는 점을 이용해 /test라는 디렉토리를 임의로 만들고 nfs로 1.0.0.12의 모든 디렉토리를 /test로 마운트 하겠다. /test디렉토리를 확인해본 결과 metasploitable2의 모든 디렉토리가 칼리의 /test에 잘 마운트 되었다.
칼리 Ssh의 만든 키 파일을 metasploitable의 root의 ssh인증키 파일을 삽입! (중요!)
Ssh을 이용하여서 metasploitable(1.0.0.12)의 root계정 접속한다.
칼리의 Ssh-keygen에서 만든 비밀번호 입력한다.
무사히 metaspoitable2의 root계정으로 접속이 된다.
Metasploitable2에서 로그 기록을 살펴보겠다. (lastlog 명령어 사용)
Tty는 로컬접속 pts는 원격접속을 뜻한다. root계정이 pts로 원격 접속이 되었음을 확인!
metasploitable2(1.0.0.12)가 21번 ftp포트도 open되어있음을 이용하여
ftp도 공격할 것이다. ftp는 vsftpd 2.3.4버전의 취약점을 이용하여서 공격할 것이다.
Postgresql 실행한 후에 msfconsole 입력한다.
Vsftpd을 검색하게 되면 하나가 나온다.
Use exploit/unix/ftp/vsftpd_234_backdoor (백도어공격 사용!)
Show options로 옵션들을 확인한다.
Rhosts가 비어 있기 때문에 set rhosts명령어를 사용한다.
Set rhosts 1.0.0.12 (공격대상의 ip를 넣어준다.)
페이로드를 설정한다.(공격코드 설정!)
Run(작동!)
Id를 입력하면 root계정을 확인할 수 있고, hostname를 입력하면 metasploitable을 확인할 수 있다.
Vsftpd2.3.4버전은 백도어가 존재한다. Ip 1.0.0.12의 21번 포트로 접속한 후
Id와 pass워드를 입력한다. User나 pass에는 아무 값이나 입력하고 user의 값 뒤에 :)을 꼭 붙어줘야 한다. 그렇게 되면 백도어가 열리게 된다.
user에서 :)인식한 후에는 백도어로 6200번 포트가 열리게 된다.
확인하기 위해 telnet으로 1.0.0.12 6200번 포트에 접속!
접속이 완료 된 후 id를 확인 해보겠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모든 명령어 뒤에 세미콜론을 붙여줘야 명령어가 실행된다.
ls –al;로 모든 정보 확인! 외에도 여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취약점을 이용하여 VNC도 실행하여 보겠다.
VNC란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 간단히 말하면 리눅스에 GUI 환경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Metasploitable2의 포트를 확인해본 결과 역시 vnc포트도 open이다.
Vncviewer 명령어로 접속해보겠다.
metasploitable2의 비밀번호 입력하면 무사히 접속 완료
VNC창이 나타나면서 metasploitable2의 root계정으로 접속이 되었다.
'보안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telnet 통신 정보 가로채기 (0) | 2019.08.06 |
---|---|
arp apoofing, DNS Cache Poisoning 공격 및 대처 (0) | 2019.08.06 |
Linux SSL 인증서 설정(WEB, FTP, MAIL) (0) | 2019.07.19 |
kali DHCP 공격! (Window , Linux) (0) | 2019.07.19 |
kali vmware tool 설치 (0) | 2019.07.12 |